1. 터널링 기술
터널링은 사용자에게 투명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터넷과 같은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강력한 보안을 제공한다.
1) L2TP(Layer 2 Tunnel Protocol)
- 마이크로소프트사의 PPTP(Ponit-to-Point Tunneling Protocol)는 원격지 사용자와 로컬 네트워크 간 또는 로컬 네트워크와 로컬 네트워크 간의 2계층에서 터널링 기능을 제공한다.
- 시스코의 L2F(Layer 2 Forwarding)는 원격 호스트가 공중망을 통해 인트라넷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.
- PPTP와 L2F의 장점을 결합하여 만든 프로토콜이다.
- 원격 접속 방식의 VPN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/서버 기반 터널링 프로토콜이다.
2) IPSec
- IPSec은 IP 계층에서의 암호화를 통하여 기존의 네트워크 상에서 자신의 IP를 숨기고 상대방에게 IPSec VPN을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.
- IP계층 또는 그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을 보호하기 위해 IP계층에서의 기밀성, 데이터 인증, 연결의 무결성을 제공한다.
- IPSec은 원격접속 방식, 인트라넷, 엑스트라넷 방식 모두에 적용된다.
3) SOCKSv5
- 상호간 인증을 거친 침입 차단 시스템간의 표준 프로토콜이다.
- 강력한 접근 통제 특성으로 보안성이 매우 높은 가상사설망을 구현할 수 있다.
- SOCKSv5는 OSI 5계층인 세션 계층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통제한다.
4) TLS (Transport Layer Security) VPN
- IPSec VPN을 적용할 수 없는 구간에 사설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.
- 전송 계층의 암호화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TLS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복호화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만 메시지에 접근하게 하여 보안성을 높인다.
5) MPL (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) VPN
- IP 기반 VPN에 비해 서비스 품질, 보안성, 신뢰성이 보장된 데이터 포워딩을 제공하며 확장성이 뛰어나다.
-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인트라넷 사이트에 대한 관리가 편리해지며,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한다.
p222